1. 단순폭행죄 성립 기준
단순 폭행죄는 사람의 신체에 폭력을 행사하여 성립하는 범죄이다.
직접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유형력이 행사되었다면 인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가 B를 때리려고 주먹을 휘둘렀지만 맞지 않았다 하더라도 폭행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폭행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가해자가 사람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을 행사한다는 인식이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폭행으로 인정되는 행위는 다음과 같아요
- 손바닥으로 상대의 뺨을 때리는 행위
- 주먹으로 얼굴을 가격하는 행위
- 상대방 얼굴에 침을 뱉는 행위
- 머리카락이나 수염을 강제로 자르는 행위
- 귀 가까이에서 큰 소리를 지르는 행위
- 종이컵을 던지는 행위
법률 전문가들은 폭행죄에 대해서 '옷깃만 스쳐도 성립할 수 있는 범죄'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종이컵을 던져 상대방의 얼굴 근처를 스쳐 지나 갔다고 해도 폭행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적으로 장난으로 여겨지는 '생일방'도 대법원 판례(2020도2680호)에 따라 폭행죄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폭행죄로 처벌된 실제 사례
(1) 채권채무 관련 폭행 사건
- 사건 개요 : 2022년 8월 00카페에서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돈을 갚으라고 요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폭행 사건
- 행위 : 채무자가 채권자의 목을 밀쳐 넘어뜨림
- 처벌 결과 : 벌금 50만원 부과
(2) 가족 간의 재산상속 문제로 인한 폭행
- 사건개요 : 2022년 5월 가정집에서 가족이 재산상속 문제로 다투던 중 발생
- 행위 : 동생이 언니의 얼굴에 침을 뱉음
- 처벌 결과 : 벌금 30만원
(3) 차량 주행 중 시비로 인한 폭행
- 사건개요 : 2022년 1월 00도로에서 끼어들기 문제로 말다툼 발생
- 행위 : B가 A의 가슴을 밀침
- 처벌 결과 : 벌금 100만원 부과
(4) 시장 골몰길에서 발생한 폭행 사건
- 사건개요 : 2018년 11월 00시장 골목길에서 택시기사와 승용차 운전자 간 시비 발생
- 행위 : 승용차량 운전자가 택배기사의 얼굴에 침을 뱉고, 손바닥으로 얼굴을 3회 때림
- 처벌 결과 : 벌금 70만원 부과
위와 같이 폭행죄는 단순한 신체적 접촉뿐만 아니라,
상대에게 유형력을 행사한 행위도 포함하여 다양한 사례에서 처벌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침을 뱉는 행위도 강한 모욕감을 유발뿐만 아니라,
폭행죄로 인정되어 벌금형이 부과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겠습니다.
3. 단순폭행죄 합의금과 처벌의 차이
단순폭행죄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밝히면 공소권이 없어 사건이 종결됩니다.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법원에서 대부분 벌금형이 내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합의금 수준은 사건의 경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대부분 합의가 되는 사건은 50~200만원 선 안쪽에서 합의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단순한 폭행일 경우 벌금이 부과되는 것을 살펴보면 침을 뱉는 경우는 30만원에서 벌금형이 부과되고,
가래침을 뱉거나, 상대를 밀치고, 때리는 행위인 경우는 벌금형이 100만원까지 평균적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합의가 어려운 사례
1. 감정이 깊이 쌓인 경우 : 가족 간 오랜 갈등이 누적된 사건
2. 모욕적인 요소가 포함된 경우 : 상대방의 인격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행위
3. 사회적 지위 차이가 있는 경우 : 갑질 논란 등에서 합의가 어려운 경우
예를 들어 택배기사 사건에서 피해자가 모욕감을 이유로 합의를 거부하여 가해자가 처벌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사례에서는 물리적 폭행보다도 감정적 상처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어
단순폭행죄는 작은 신체적 접촉이나 유형력 행사로도 성립될 수 있는 범죄입니다.
피해자가 원하면 쉽게 합의되 수도 있지만, 감정적 요소가 개입되면 합의가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폭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조절하고, 갈등 상황에서 신체적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법적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건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법적 조언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찰(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행 사건 정당방위 기준 및 판례 사례 (0) | 2024.05.14 |
---|---|
불효자와 연 끊은 부모 유류분 상속 못받게 되었다 (0) | 2024.04.25 |
고소장 작성 방법 및 경찰서 접수시 주의 사항(상해.폭행.명예훼손 고소장 작성 팁) (0) | 2024.04.13 |
스토킹범죄자 전자발찌(전자장치) 채운다(전자발찌 착용 대상자) (0) | 2024.01.11 |
모욕죄 범죄구성요건 및 처벌 형량에 대한 판례 사례 (1) | 2023.10.31 |
댓글